002lunic* 아니요. 화각이 같으면 배경압축의 효과 - 보다 정확하게는 피사체와 배경의 크기의 비율, 즉 원근감 - 는 같아야 합니다. 렌즈마다 묘사가 다르기 때문에 직접 비교하면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카메라들 초점거리가 대략 5mm쯤 됩니다. 이건 5mm 렌즈에서 크롭한 건가요? (풀프레임용 5mm 렌즈 같은 건 없습니다.) 배경압축이 풀프레임 초광각처럼 됩니까? 안 그렇거든요.2016-11-08 12:22 신고
다희아빠[lunic*] 글쎄요. 5mm렌즈가 있다하더라도 스마트폰 센서 크기가 똑딱이 수준(1.8인치쯤?)이니 가운데 아주 극히 일부 영역만 크롭을 하게 되겠죠.
그럼 5mm 초광각이라하더라도 왜곡은 거의 없을거 같은데요? 그래서 그런거 아닐까요?2016-11-08 12:52 신고
003Galant lunic* 님 말씀과 같이 환산화각이 같다면 렌즈별 특성을 제외하면 배경압축은 거의 동일합니다.
배경압축이라는 문구가 좀 어색해서 영문을 찾아보니 ' compress the distance '라는 표현이 있네요.
렌즈의 초점거리가 길수록 근거리 피사체와 장거리 피사체의 크기차이가 줄어들어 양 피사체간의 거리가 실제 거리보다 짧게 인식되게 됩니다.
35mm 판형의 50mm 렌즈가 실제 사람눈과 비슷하다는건 화각이 아니라 사물의 원근감이 사람눈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다희아빠[Galant] 제가 궁금한건 다르냐 같느냐에 대한 의문이었습니다. 거의 동일하다는건 같은건가요? 다른건가요?
제가 초점거리에 관한걸 공부하면서 이해한 내용은
크롭 팩터라는게 존재하는 이유는 50mm 렌즈를 크롭바디에 물렸을때 풀프레임 센서보다 작은 일부분만 사용이 되기 때문에
사진을 크롭한 것과 같다 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초점거리가 긴 렌즈로 사진을 찍은것과 유사한 사진을 찍게 되고 그래서 환산화각이 몇mm 다라는 얘기를 하는거라는거죠.
제가 이해한 이론에 따르면
풀프레임에 30mm 렌즈로 찍은 사진과 크롭바디 20mm(환산 30mm)로 찍은 사진은 배경압축이 다를거 같습니다.
왜냐하면 크롭바디로 찍은건 사실 20mm 렌즈로 찍은다음 30mm화각에 맞도록 크롭한 셈이 되는거니깐요.
한시간도 안되는 짧은 시간동안 웹페이지 몇개 읽어보고 토론하려니 어렵네요...
제가 본 문서들 중 가장 잘 설명되어 있던 페이지를 링크해드립니다. http://blog.naver.com/wook10401/2207704012132016-11-09 10:44 신고
lunic*[다희아빠]완벽히 같다고 말할 수가 없는 이유는, 실제로 배경묘사의 특성이 완벽히 같으면서 초점거리만 다른 렌즈를 가져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원근감을 다르게 말해 보면 가까운 물체(A)와 멀리 있는 물체(B)가 사진에서 어떤 비율로 나오는가거든요. 물체 A가 사진에서 같은 크기가 되도록 할 때, 광각렌즈일수록 B가 작게 나오고 망원렌즈일수록 B가 커질 겁니다. 이건 각각의 상황에서 카메라-A의 거리와 카메라-B의 거리의 비율이 변하기 때문이죠.
그런데 어떤 물체가 사진에서 어떤 크기로 나오느냐는 것은, 물체의 크기나 카메라와의 거리가 고정되어 있다면 화각에만 달려 있습니다. 말씀하신 풀프레임 30mm와 크롭바디 20mm 같은 경우겠죠. 그러므로 환산화각이 같은 렌즈들을 가지고 A가 같은 크기로 나오도록 촬영한다면 B의 크기도 같아야 합니다. 그래서 두 렌즈는 이론적으로 원근묘사가 같아야 하고, 실제로 차이가 있다면 두 렌즈의 실제 화각이 약간 다른 겁니다. 그 렌즈가 풀프레임용이든 대형카메라용이든 폰카용이든 전혀 상관없이 그냥 사진이 찍힌 조건에서의 화각만을 따릅니다. 크롭하기 때문에? 모든 렌즈는 꽂아 놓은 카메라의 판형을 따라가지, 이게 원래 어떤 카메라에 쓰는 렌즈인지 필름이나 센서가 어떻게 압니까?2016-11-09 15:39 신고
다희아빠[Galant]쪽지 감사합니다.
galant님 말씀은 환산화각이 같다면 배경압축 효과는 같다라는 것이군요. 뭐 렌즈별 특성 그런건 논외로 치면 말이죠.
근데 일부 카메라를 보면 크롭을 이용해 줌을 한것같은 효과를 주는 기종이 있습니다.
소니 a7r이라던지 리코 gr 같은 기종이 그렇다고 하더라고요. 써보진 못해서..^^;
그럼 크롭으로 줌을 했으면 배경압축은 동일할거잖아요?
하지만 피사체는 더 크게 찍히게 되겠죠.
전 크롭바디로 사진을 찍는걸 같은 원리로 이해한 겁니다.
원래 상이 맺혀야할 풀프 센서의 일부분만 빛을 받아들일 수 있으니 그 부분만 크롭한 것과 같이 사진이 찍힌다.
그러므로 배경압축 효과는 환산화각이 아닌 렌즈 자체 화각과 동일할 것 같다.
제가 링크 걸어드린 문서에 보면 플프와 크롭을 비교하는 그림이 있는데 그 부분을 보고 그렇게 이해했습니다.
근데 암연소혼장님은 맞다라고 얘기하셨고 다른 두분은 아니라고 얘기하시니 더 헷갈리네요2016-11-10 08:46 신고
Galant[다희아빠] 아마 암연소혼장님은 배경흐림으로 보신게 아닐까 싶습니다.
디지털줌과 광학줌의 크롭효과는 동일합니다.
디지털이든 광학이든 잘라낸만큼의 화각으로 배경압축을 얘기해야지 원 렌즈의 실초점 거리는 의미가 없습니다.
GR이 환산화각 28mm 지만 디지털 크롭으로 35mm 화각을 표현할 수 있다고 기억합니다.
이 때 나타나는 화면은 환산 35mm 렌즈와 동일합니다. 2016-11-10 10:18 신고
다희아빠[Galant] 배경압축에 관한 글을 찾아보다가 제가 궁금해했던 이 글의 내용에 대한 글이 있어서 해답을 찾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말씀드리면 디지털줌과 광학줌의 크롭효과는 동일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배경압축은 환산화각이 아닌 실초점 거리와 동일하다고 합니다.
제가 읽은 페이지 링크를 남겨드리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참고 해주세요. http://speedit.tistory.com/5592016-11-10 10:51 신고
Galant[다희아빠] 이쯤 되면 미치겠네요 ㅎㅎ
해당 링크는 잘못된 내용입니다. 배경압축 비교는 같은거리에서 동일 화각(환산 초점)으로 촬영한게 아니라면 의미가 없습니다.
많은분들이 배경압축이라는 이상한 용어때문에 의미를 잘 이해 못하시는 것 같습니다.2016-11-10 11:04 신고
Galant[다희아빠] 센서가 작은 컴팩트 카메라가 없으시면 가까운 전자제품 매장에 가셔서 망원 영역으로 한번 촬영해보세요.
풀프레임 대비 2.7 크롭정도 되는 캐논 G7X의 망원영역 실초점 거리가 36.8mm(환산 100mm) 입니다.
동일 피사체를 화면에서 같은 비율로 촬영한다고 할 때 사물 간 왜곡정도가 풀프레임에 35mm 렌즈를 사용한 사진과 비슷할까요? 아니면 100mm 렌즈를 사용한 사진과 비슷할까요?2016-11-10 11:39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mustaine80***
닉네임 : 암연소혼장
포인트 : 113831 점
레 벨 : 최우수회원(레벨 : 6)
가입일 : 2013-10-30 14:38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