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2워프짱™촛전 거리는 파나소닉의 테스트에 의하면 25mm를 기준으로 25mm가 넘으면 렌즈떨방이 효과적이라 렌즈떨방을 넣고 그 이하 촛점거리는 바디떨방으로 커버하겠다는 이야기입니다.
즉 안된다는게 아니라 망원으로 갈수록 바디떨방의 효과가 떨어진다라는 이야기이지요.
그래서 더 넓은 촛점거리를 커버하기 위해서
Dual IS를 도입한겁니다.2016-11-30 21:43 신고
워프짱™[지마운틴] 조심스럽게 예측해보면 젤로현상을 다른걸로 생각하고 계신게 아닌가 싶습니다.
센서리드아웃스피드는 동일하기 때문에 젤로현상은 망원렌즈일수록 더 눈에 띄게 나타납니다. 망원이 떨림이 심한 이유와 같은거지요.
광각쪽에서는 떨림도 적어지고, 젤로현상도 적게 느껴지기 마련입니다.
근데 반대로 이해하고 계신거 같아서, 아마 다른 증상과 혼동하고 계신건 아닌지라는 생각이 듭니다.
기본적으로 젤로현상(Jello effect)는 센서에서 이미지를 읽어갈때 한번에 읽어가지 못하고 라인단위로 읽어가기 때문에 첫 라인과 끝라인을 읽어내는 시간이 다름에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그래서 젤로 현상은 동영상에서 더 두드러지며, 화면을 좌우로 흔들때 1자 모양의 피사체가 세로 방향(비스듬하게 누운것처럼)으로 휘어지는 증상을 뜻합니다.2016-12-01 14:02 신고
7-14의 7mm구간은 35mm환산으로 14mm에 해당되는 초광각입니다. 이런 렌즈들은 렌즈성능만으로 주변부 왜곡을 펴줄수 있으면 좋지만, 마포의 컨셉은 그게 아니라 어안처럼 보이는 외곡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정해줍니다. 어안처럼 보이는 상태에서는 저렇게 주변부가 젤로처럼 보이지는 않을거 같고, 왜곡보정때문에 그 부위가 카메라의 움직임보다 더 빨리 움직여지기 때문에 젤로현상이 더 두드러져 보이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아무튼 근본적인 해결책은 센서리드아웃스피드를 올리는게 가장 좋습니다.2016-12-01 14:09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mustaine80***
닉네임 : 암연소혼장
포인트 : 113831 점
레 벨 : 최우수회원(레벨 : 6)
가입일 : 2013-10-30 14:38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