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빛과거리 H.264 압축 코덱에 로그 감마를 대응시키면서 생기는 문제로 보이는데 (8bit 4:2:0 코덱에서 Log 쓰면 비슷한 현상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파나가 이걸 해결하려면 프로 캠코더 쪽이랑 풀어야할 문제가 많아서 쉽진 않아 보입니다. (그러게 AVC Intra 나 돈주고 사오지 왜...)2017-03-07 01:20 신고
빛과거리[DAMN] 1. XAVC 도 8bit 4:2:0 에서 로그를 쓰면 비슷한 문제가 있습니다. (정도는 덜해보입니다만.) 4:2:2 에서는 훨씬 덜합니다. AVC Intra 100, AVC Ultra 역시 위와 같은 문제가 없습니다.
2. GH5 에 추가되는 코덱의 명칭은 아직 발표 안된것으로 압니다. (기존 코덱이랑은 스팩이 다릅니다.) 위에 언급한 AVC Intra 는 AVC Intra 100 입니다. GH4 에 넣으려다 못 넣은 코덱이었죠.
3. 아울러 V-Log L 은 GH4 에서도 내장으로 4K 녹화시 (8bit 4:2:0) 암부에 마젠타와 그린이 블럭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외장 (8/10 bit 4:2:2) 녹화시 나타나지 않고요. GH 라인의 설계시 Log 감마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던게 아닌가 싶습니다.2017-03-07 04:10 신고
DAMN[빛과거리] 1. 8bit 4:2:0이라면 Log사용시 당연히 계조부족으로 인해 해당현상이 나타납니다. 다만 이번 이슈글을 확인해보셨으면 아시겠지만 cinema5d측 주장대로면 fs7과 GH5를 비교시 차이가 너무나도 명확하게 나옵니다. 단순 압축코덱으로 인한 차이는 아니라는말입니다.
2. AVC Intra,ultra와 현재 GH4,5에 사용되는 코덱은 wrraper와 비트레이트만 다를뿐 기본 코덱구성,레벨은 같습니다. 이번에 펌업으로 추가되는 1080p 200Mbps코덱은 기존 AVC-Intra Class200의 스펙에 대응합니다. 하이클래스인 12bit 4:4:4클래스에만 대응못할뿐입니다. 참고로 이 코덱은 DVX200을 비롯한 최신의 파나소닉 방송카메라에도 들어가있습니다.
3. GH4는 그렇다고볼수도있는데 이후 충분한 시간을 들여만든 GH5도 이슈가 나왔으니...파나측의 답변이 기다려지네요.2017-03-07 05:21 신고
빛과거리[DAMN] 1. cinema5d 의 주장은 GH5 의 10 비트 4:2:2 코덱이 V-Log L 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다는 것이고, 저는 그 이유를 GH4 부터 이어지던 4:2:0 크로마서브샘플링과 매칭 부조화 에서 기인한다고 적은겁니다. GH4 와 비슷한 스펙을 가진 A7S 는 s-log2 를 훨씬 유연하게 처리합니다. (심지어 압축율은 더 떨어지죠.)
2. GH4 에 사용된 코덱은 AVC Intra 100 코덱과는 다릅니다. 기본 코덱 구성 레벨이 같다는 평가는 개인별로 다르겠습니다만, 스펙상으로는 오히려 XAVC S 와 더 가깝습니다. 만약 GH4 의 코덱과 AVC Intra 가 같다고 이야기 한려면 더 비슷한 XAVC S 랑도 같은거고 XAVC 도 같은거라는건데... 이렇게는 말할 수 없죠. (댓글을 추가하셔서 첨언하자면) 파나소닉의 프로페셔널 캠코더 라인에서 쓰는 코덱과 루믹스 라인에서 쓰는 코덱이 다르기 때문에 (애초에 다른팀이죠) 이 모든 문제가 생겼다고 보는 겁니다.
비슷한 이유로 심지어 돈을 내고 추가하는 V-Log 도 굳이 "L" 이 붙어있습니다.2017-03-07 05:32 신고
DAMN[빛과거리] 1. 네. 부정하려는게 아니구요, 다만 그런쪽에서의 사정은 AVC-INTRA나 FS7의 XAVC에서도 마찬가지라는 말입니다. 다만 Cinema5D의 비교대상이었던 FS7은 비슷한사정에서도 훨씬 뛰어난 퀄리티를 보여줬으니, 단순 코덱만의 문제로 치부하긴 어렵다는 이야기죠.
2. GH4는 당연히 다릅니다. 한번도 GH4의 코덱이 AVC-INTRA와 같다고 한적이 없는데... 라고 적었었는데 저위에 AVC ULTRA와 GH4가 같다고 적어놨군요;;; 편집중에 댓글달다가 실수한듯합니다. 제가 말하는건 GH5에 추가될 1080P 200Mbps 10bit코덱을 말하는겁니다.
dvx200과 파나캠에 사용된 해당코덱은 wrapper를 제외한 모든게 AVC-INTRA CLASS200 10bit에 훨씬 가깝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AVC-INTAR CLASS200 10bit는 60p촬영시 비트레이트가 450Mbps정도로 부스트된다는것이고, DVX200에 쓰인 녀석은 60p도 200Mbps라는 정도일까요. 그외 코덱, 레벨, 프로파일, 인트라프레임방식등은 쌍둥이입니다. XAVC-S랑은 다릅니다.
V-Log L은 10bit까지만 대응하며 12stop의 다이나믹레인지를 가진다는게 차이점이죠. 일단 오리지널 V-Log를 장착한 Varicam에 비해선 센서의 다이나믹 레인지도 차이가 많이 나고, 코덱자체가 10bit를 넘기지 못하기때문에 이건 당연한거라고봅니다. A7S의 경우는 참 변태적인게, 스펙이나 코덱은 별볼일없지만 센서의 순수화질과 신호대잡음비가 월등히 좋아서 많은 부분이 커버되는 케이스죠.
2017-03-07 05:50 신고2017-03-07 05:52 신고
빛과거리[DAMN] 1. 네 같은말인데 GH 디자인한 파나소닉 (LUMIX ??) 가 log 감마랑 연결을 잘 못했다 (GH5 에서도) 그리고 이유는 아마도 파나소닉 프로 캠코더 라인쪽과의 소통이 제대로 되지 못해서 라고 추측 하는거고요.
2. DVX 에 쓰인 코덱과 "같은" 코덱이라면 GH5 도 문제가 안생겼어야하는데 생겼으니 "같지않다" 고 보는게 제 의견이고요. 이번에 이슈가 되어 추가되다는 코덱은 모르겠으나 적어도 정상적으로 출시가 된다면 현재 탑재된 코덱을 (비록 스펙이 비슷하다고 해도) AVC INTRA 계열로 칭하지 않을거라고 보는거고요.
결론 = 파나소닉 (중에서 GH 라인 만드는 Lumix 쪽) 일해라. 그리고 가급적 프로캠 만드는 팀이랑좀 친하게 지내라. -_-; 2017-03-07 06:02 신고
DAMN[빛과거리] 1. 네. 전달하시려는게 어떤 의도인지는 잘 알고있습니다.^^ 다만 제 의견은, 단순 코덱문제라기보단 센서스펙 혹은
크로마 샘플링(코덱에서의 서브샘플링이 아닌 분자화시 신호대잡음비의 샘플링)의 영향이 더 크지않을까 싶은것이고,
현상황에서 압축코덱만의 문제로 치부하기엔 무리가 있지않을까하는겁니다.
뜯어보시면 알겠지만 현재 GH5에 탑재된 코덱도 스펙시트상으로는 10bit를 처리하기에 절대 버거운 스펙이 아닙니다.
GH5정도 이슈가 되는 카메라를 출시하면서 프로캠부분과 그렇게 기술공유를 안했을지도 솔직히 잘 모르겠구요...^^
2. DVX200에 탑재되어있는 200Mbps코덱은 현재 GH5에 탑재되어있지 않습니다.
이슈가 되어서 추가되는게 아니고 원래 출시때부터 추가되기로 예정이 되있었습니다.
CINEMA5D가 테스트한 GH5는 그 코덱으로 테스트를 한게 아니구요.
돈주고 AVC-INTRA를 넣으면 해결이 된다고 하셨기에... 펌웨어로 그와 비슷한 스펙의 코덱이 탑재될 예정이라는 걸 알려드린겁니다.
만약 200Mbps코덱이 탑재된 후에도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면, 이건 코덱문제가 아닌걸로 봐야맞는거같구요.^^
다만 리뷰어인 Cinema5d의 입장에 따르면, 이 문제는 논리적 오류보단 비논리적인 오류(버그현상)에 가까우며
200Mbps코덱이 추가되어도 해당문제가 픽스되지않으면 상황은 같을거라는 의견이 댓글중에 있던걸로 기억합니다.
회원정보
아이디 : arisus***
닉네임 : 빛과거리
포인트 : 1861 점
레 벨 : 준회원(레벨 : 9)
가입일 : 2016-01-24 00:29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