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3Limit어떤 환경에서 어떤 촬영과 수음을 하느냐에 따라 사용해야하는 마이크는 달라집니다. 공연 촬영이냐 행사촬영이냐 일상이나 인터뷰냐...
물색하신 마이크들 보면 컨덴서 마이크 종류들인데 환경음쪽에 신경쓰시는거같은데 맞는지요? xlr입력과 팬텀파워가 필요해지니 기동성 면에선 좀 손해를 보실거 같습니다. 거기에 핸디캠을 고려하신다면... 조합이 선뜻 떠오르질 않네요 ㄷㄷ2018-05-12 18:44 신고
RTS3 T*[Limit]1) 홈오디오 스피커를 통해서 나오는 사운드의 레코딩 및 평가용, 연구용 사운드의 기록이 주 목적입니다.
스피커만 따지면 최하 2-3백 짜리부터 시작해서 억대 이상까지 나오는 고급 사운드를
레코딩된 사운드 만으로 분별해 낼 정도는 되어야 합니다.
2) 마이크도 라지 다이어프램 간이 스튜디오용 콘덴서 마이크, 악기용 마이크 M3, M5, 숏건 마이크 등
여러가지를 검토하고 있는데 아직 결론을 못내고 있습니다.
라지 다이어프램 간이 스튜디오용 마이크로는 자동차가 지나가는 미세한 소리까지 잡혀서
녹음된다고 해서... 지향성이 더욱 강한 숏건 타입이 더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위의 일본 오디오샵에서 숏건 마이크를 사용하므로 그대로 가볼까 합니다.
3) GH5나 기타 카메라 장비, 프로용 디지탈 캠코더는 예산을 초과하고 목적에서 크게 오버하므로
저렴하고 5축떨방에 4K인 파나소닉 핸디캠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4) 실내 촬영용에 사운드가 주목적이라 마이크 케이블도 홈오디오 XLR 단자와 케이블로 적당한 선에서 DIY 예정이며
핸디 레코더가 많이 딸리면 나중에 간이 랙타입 레코딩 장비라도 알아 볼까 생각 중입니다.2018-05-12 21:43 신고
RTS3 T*[꿈2001]유투브의 여러 브랜드 마이크의 테스트 화면에서 보면
마란츠 마이크는 저역, 중저역이 거의 레코딩이 안되고
중고역은 제법 화사하게 나오는 것 같습니다.
대역 밸런스가 나빠서 고려 대생에서 제외시켰습니다.
그리고, 마란츠 마이크는 가운대 금속 막대기 밑면에 XLR 소켓이 있는데..
장착 및 배치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2018-05-12 22:00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goppaba***
닉네임 : 신선생님
포인트 : 264266 점
레 벨 : 최우수회원(레벨 : 6)
가입일 : 2015-08-29 01:51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