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8-10 08:37 | 조회수 : 2,329 본문보기
 덧글 21 접기
 덧글 21 접기
		 Sunkyong Kim 
						[DONGMIN]흠... 글쎄요. 중형카메라 가격이 떨어져도 카메라와 렌즈 자체 가격, 크기, 그리고 무게떄문에 풀프레임과 경쟁하기 힘듭니다. 게다가 현재 싸게 나오는 중형카메라는 죄다 크롭버전이죠. 당장 배경흐림은 비슷하겠지만 조리개수치는 F2혹은 더 어둡죠. 줌렌즈는 화각도 35mm에 비해 약간 좁고 조리개수치도 F4이거나 아예 가변조리개죠. 펜케이크 혹은 소형렌즈를 만들어도 조리개수치가 많이 어두워집니다. 렌즈크기는 미러리스라고 해도 여전히 크다는 점입니다. 35mm 미러리스 렌즈들도 큰데 중형은 가변조리개나 조리개수치를 많이 희생하지 않는 이상 무겁고 크기가 크고 비쌀수 밖에 없습니다. 제가 중형카메라들을 직접 사용해봐서 알지만 무척 크고 무겁습니다. 중형 미러리스라도 예외는 아니지만 하더라도 조리개수치를 많이 희생해야하죠.
Sunkyong Kim 
						[DONGMIN]흠... 글쎄요. 중형카메라 가격이 떨어져도 카메라와 렌즈 자체 가격, 크기, 그리고 무게떄문에 풀프레임과 경쟁하기 힘듭니다. 게다가 현재 싸게 나오는 중형카메라는 죄다 크롭버전이죠. 당장 배경흐림은 비슷하겠지만 조리개수치는 F2혹은 더 어둡죠. 줌렌즈는 화각도 35mm에 비해 약간 좁고 조리개수치도 F4이거나 아예 가변조리개죠. 펜케이크 혹은 소형렌즈를 만들어도 조리개수치가 많이 어두워집니다. 렌즈크기는 미러리스라고 해도 여전히 크다는 점입니다. 35mm 미러리스 렌즈들도 큰데 중형은 가변조리개나 조리개수치를 많이 희생하지 않는 이상 무겁고 크기가 크고 비쌀수 밖에 없습니다. 제가 중형카메라들을 직접 사용해봐서 알지만 무척 크고 무겁습니다. 중형 미러리스라도 예외는 아니지만 하더라도 조리개수치를 많이 희생해야하죠. DONGMIN 
						[Sunkyong Kim]전 기술의 발전(항상 이걸 전제로^^)이 크롭없는 중형센서를 채용한 카메라를 저렴하게 내놓게 될때가 온다고 생각합니다...그럼 시그마를 비롯한 렌즈기술이 있는 회사들에서 중형전용 렌즈를 생산해주고(시장이 커지면 당연하겠죵^^) 그럼 지금 소니랑 캐논이 소비되듯이 중형 카메라가 소비되는 상황이 되면 풀프레임이라고 지금 불리는 35mm 카메라들이 장점을 가지는 공간감?에서 더욱 효과적이고 매역적인 중형카메라의 시대가 올거라고 봅니다. 마포는 센서 포멧의 크기가 가지는 장점을 더욱 살리게 될거라고 보고요. 빨리 왔으몀 좋겠습니다. 라이카는 계속 마포에 보석같은 렌즈릉 만들어주기를 ㅎㅎㅎ 
						
						2018-08-13 16:10 신고
DONGMIN 
						[Sunkyong Kim]전 기술의 발전(항상 이걸 전제로^^)이 크롭없는 중형센서를 채용한 카메라를 저렴하게 내놓게 될때가 온다고 생각합니다...그럼 시그마를 비롯한 렌즈기술이 있는 회사들에서 중형전용 렌즈를 생산해주고(시장이 커지면 당연하겠죵^^) 그럼 지금 소니랑 캐논이 소비되듯이 중형 카메라가 소비되는 상황이 되면 풀프레임이라고 지금 불리는 35mm 카메라들이 장점을 가지는 공간감?에서 더욱 효과적이고 매역적인 중형카메라의 시대가 올거라고 봅니다. 마포는 센서 포멧의 크기가 가지는 장점을 더욱 살리게 될거라고 보고요. 빨리 왔으몀 좋겠습니다. 라이카는 계속 마포에 보석같은 렌즈릉 만들어주기를 ㅎㅎㅎ 
						
						2018-08-13 16:10 신고
						
						 Sunkyong Kim 
						[DONGMIN]죄송하지만 그런일은 없을 겁니다. 제가 말했다시피 카메라의 역사는 늘 소형화였습니다. 대형카메라가 주류일 당시 기동성을 위해 만들어진게 중형카메라이고 핫셀블라드도 그렇게 시작되었습니다. 라이카이후로 더 작은 35mm 카메라들이 등장하였고 현재는 크롭, 마포, 그리고 핸드폰에 탑재될정도입니다. 스마트폰이 카메라시장을 많이 잠식한건 아시죠? 이젠 크롭 DSLR도 크다고 하는 시대인데 중형미러리스라도 크기, 무게, 그리고 가격때문에 보급되기 힘듭니다. 애초에 중형 줌렌즈가 극히 적고 조리개수치부터 굉장히 어둡고 줌범위도 적습니다. 이거 풀프레임 중형카메라 기준입니다. 지금 중형카메라렌즈 크기, 무게, 가격만 보시면 아실텐데요. 아무리 미러리스렌즈로 만들어도 그렇게까지 줄어들지 않습니다. 핫셀블라드 미러리스처럼 조리개값을 많이 희생해야 소형화가 가능하죠. 현재 풀프레임 미러리스 렌즈들 조차 DSLR 고급렌즈급 크기나 아예 더 큰데 중형 미러리스도 별 차이 없을겁니다. 오히려 조리개값을 희생해서 만들어도 조리개수치부터 풀프레임에 비해 많이 불리합니다. 하여튼 지금도 전체 판매량이 예전에 비해 많이 떨어진 상태라 갈수록 더 심화될겁니다. 그리고 의외로 중형카메라의 성능이 현재 풀프레임 카메라보다 떨어집니다. 손떨방 없음, ISO성능(애초에 iso 범위도 좁고 넓더라도 풀프레임과 별 차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AF성능, 연사속도, 기타등등. 이런것들부터 해결할려면 한세월 걸리겠죠. 애초에 중형카메라들은 스튜디오촬영에 특화된 카메라라 어쩔수 없어 보이긴합니다.
Sunkyong Kim 
						[DONGMIN]죄송하지만 그런일은 없을 겁니다. 제가 말했다시피 카메라의 역사는 늘 소형화였습니다. 대형카메라가 주류일 당시 기동성을 위해 만들어진게 중형카메라이고 핫셀블라드도 그렇게 시작되었습니다. 라이카이후로 더 작은 35mm 카메라들이 등장하였고 현재는 크롭, 마포, 그리고 핸드폰에 탑재될정도입니다. 스마트폰이 카메라시장을 많이 잠식한건 아시죠? 이젠 크롭 DSLR도 크다고 하는 시대인데 중형미러리스라도 크기, 무게, 그리고 가격때문에 보급되기 힘듭니다. 애초에 중형 줌렌즈가 극히 적고 조리개수치부터 굉장히 어둡고 줌범위도 적습니다. 이거 풀프레임 중형카메라 기준입니다. 지금 중형카메라렌즈 크기, 무게, 가격만 보시면 아실텐데요. 아무리 미러리스렌즈로 만들어도 그렇게까지 줄어들지 않습니다. 핫셀블라드 미러리스처럼 조리개값을 많이 희생해야 소형화가 가능하죠. 현재 풀프레임 미러리스 렌즈들 조차 DSLR 고급렌즈급 크기나 아예 더 큰데 중형 미러리스도 별 차이 없을겁니다. 오히려 조리개값을 희생해서 만들어도 조리개수치부터 풀프레임에 비해 많이 불리합니다. 하여튼 지금도 전체 판매량이 예전에 비해 많이 떨어진 상태라 갈수록 더 심화될겁니다. 그리고 의외로 중형카메라의 성능이 현재 풀프레임 카메라보다 떨어집니다. 손떨방 없음, ISO성능(애초에 iso 범위도 좁고 넓더라도 풀프레임과 별 차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AF성능, 연사속도, 기타등등. 이런것들부터 해결할려면 한세월 걸리겠죠. 애초에 중형카메라들은 스튜디오촬영에 특화된 카메라라 어쩔수 없어 보이긴합니다. 
	
회원정보
아이디 : aerill***
닉네임 : 박정우_눈먼냥이
포인트 : 256426 점
레 벨 : 최우수회원(레벨 : 6)
가입일 : 2015-03-12 12:14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