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0eggry
일단 8K는 센서가 되도 아직 처리속도나 스토리지 면에서 문제가 있을테고, 렌즈군 확충 같은 문제도 있으니 시작은 무난하게 궁극의 4K 머신을 목표로 가나보군요. 고화소 희망이라서 a7S III 센서면 좀 아쉽긴 한데 애초에 FF로 간 이유 자체가 8K가 동기일테니 당연한 듯도. 8K는 2020년까지 준비한다는 목표일 거 같고, 그 전에 FF 센서 적응과정 같은 것도 필요는 할테죠. 2020도 프로캠급 기준이지 카메라 쪽은 조금 늦어도 되고(풀프레임 GH는 어차피 올림픽 타겟이 아니니) 2021년 정도까지 봐야할 듯도 싶네요. 렌즈도 그때 쯤 어느정도 갖춰진 상태일 거 같고요.
근데 소니가 그 귀한 a7S 센서를 줄지 좀 의문이기도 하고, SL 마운트가 아니라 독자마운트라고 하면 혼자서는 조금 버거울텐데 올림푸스도 끌어들여서 쿼드로포서드라도 만드는 건지... 어댑터로 마포 렌즈 쓸 수 있다면 고화소 모델이라면 요즘은 1200만 정도 나오겠네요. 노이즈나 DR이야 월등히 낫겠지만 그래도 화소수가 음;
어쨌든 첫 제품은 제가 희망하는 포지셔닝은 아니군요. 네이티브 8K 동영상 뽑으려면 3:2 비율로 3600만 센서가 최소인데 풀픽셀리드로 어느정도 화질향상까지 고려하면 5000만 클래스로 나와야 할 듯도 싶네요. 제가 희망하는 사양은 이정돕니다. 사실 동영상은 4K60이면 충분한데 스틸 5000만 급이 필요해서요 ㅎㅎ 크롭모드 화소수까지 고려해서 8000만 정도로 나온다면야 더 좋습니다만 동영상 쪽으로 감당이 힘들지 싶군요;2018-09-01 17:41 신고
바디와 렌즈의 밸런스 측면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고요... 그리고 풀프나온다고 마포쓰던 사람들이 다 풀프로 넘어갈거 같나요? 비용문제도 그렇고 밸런스 문제 때문에라도 병행할겁니다. 일단 전 그렇네요. 풀프는 꼭 파나를 써야할 이유가 있는것도 아니고요.2018-09-01 19:25 신고
소니가좋아[워프짱™]파나소닉 시장점유율 보고 생각을 다시해보세요 파나소닉은 캐논 니콘 소니가 아닙니다. 그 얇은 시장을 유지하기 위해 파나소닉이 양다리 걸칠 상황은 아니라고 보여지는데요? 아마 마포에서 풀프레임시장으로 옮기고 마포접을껍니다. 5년이내로요2018-09-01 21:34 신고
워프짱™[소니가좋아]파나가 풀프내면 풀프 미러리스에서 바로 1등먹을꺼라 생각하나요? 풀프시장이 경쟁이 더 치열한데 한모델 내놓고 마포를 포기할거 같다고 생각하는게 이상한거죠.
파나는 마포 시장에서도 포지셔닝을 동영상으로 잡아서 잘 해나가고 있습니다. 풀프도 그 연장선상에 있고요.
즉, 파나 풀프는 절대 사진시장에서 가격경쟁을 하는 바다가 아닙니다. 영상기기에 비해 가성비 있는 포지셔닝이 될거고요.
지금까지 해온 전략을 그대로 가져갈겁니다.
소니가좋아[워프짱™]포서드는 왜 없어진건가요? DSLR이라서? 애초에 캐논니콘 DSLR에 밀려서 미러리스라는걸 만든게 이회사입니다. 근데 이제 FF미러리스들이 나옵니다. 그럼 이제 마이크로포서드는 DSLR이 아니라 미러리스FF 바디들을 상대해야 한다는 이야긴데 그게 가능하다고 생각하세요? 동영상 하나 보고 시장에서 버티는게 가능할까요? 캐논이나 소니는 발전안하고 있을까요? 소형경량화에 장점때문에 마이크로포서드를 쓸꺼라구요? 제 생각에는 1인치짜리 하이엔드 디카시장이랑 FF미러리스, FF DSLR시장에 마이크로포서드가 낀거 같은데요? 그런데도 마이크로포서드를 계속 만드는게 비전있는 일일까요? 뭐 이미 파나소닉 내부에서 결정은 내려졌겠죠2018-09-01 22:43 신고
016미오미오파나라서 솔직히 캐논 미러리스보다는 더 기대를 가지기도 합니다...
근데 위상차는 되었으면 하구 렌즈를 독자적으로 개발 할려면 좀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가집니다..
암튼간 좋은 카메라 만들기를 기대합니다..^^2018-09-03 18:03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preview11***
닉네임 : e5060
포인트 : 21704 점
레 벨 : 우수회원(레벨 : 7)
가입일 : 2015-05-11 11:03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