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3에너지 왜? 많은 카메라가 필요한가? 설명 드립니다.
사진촬영 프로젝트 계약이 있었는데... 영상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4K촬영기준으로 잡았으며
카메라 공급기준에서 단체에서 진행하였고... 카메라 선택을 삼성으로 했었는 것이고... 대량구매기준에 적합한 정도의 약간 할인기준은
있었겠지만 많이 산다고 크게 싸게 구입하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카메라 선택에서 삼성을 결정한 것은
제가 할수있는 권한 범위 안을 일이니까 과감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국산이잖습니까 ㅎㅎ2015-10-08 12:17 신고
022물가에서 참으로 대단하십니다, 한 4`50년 전 이야기인데요 이시기에 일본은 상품을 상 중 하급의 제품을 공급하였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제품자체를 상중하의 품질로 만든것이 아닌 만들다가 제일 잘 못만들어진 제품, 그보다는 좋게 만들어진 제품, 그리고 제일잘 만들어진 제품으로 구분하여 하급은 동남아로, 중급은 국내소비용으로 그리고 상급은 유럽과 미주로 수출을 하였다 합니다, 일본인 들은 지금도 동일하게 사용되는 제품은 저희 나라에서 나온 제품을 선호한답니다, 이것이 오늘의 세계경제 2위라는 일본을 일으켜세운 원동력이라 봅니다,
이제 우리도 국산 사진기가 나오니 가급적 국산을 선호하면 이것이 애국이지요 물론 삼성기업 자체가 마음에는 들지 않지만요, 참 잘 하신것입니다.2015-10-08 16:06 신고
026에너지 대단한 것 없고... 멋진것도 없습니다. 비슷한 상황에서는 같은 생각을 할수밖에 없는 것이 아닐까요?
기업의 입장에서는 이익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기준이 없으면 못할수도 있는 것이고... 또 기존 카메라시장에서 렌즈부분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에 쉽지만 않은 것이지요. 오늘 단체 강의실에서 사람들에게 카메라사용법을 말하다보니 같은 말을 하더군요.
그립감도 좋고 여러부분들이 괜찮다는 평이었습니다. 대부분 5Dmk3이나 D800이상급을 사용하던 사람들인데...
왜? 전문가들은 접근을 안했을까요? 이유가 있는 것이겠지요. 그들이 가지고 있는 렌즈들... 그것을 포기하고 삼성으로 갈아탈수는 없었기
때문이지요. 렌즈군들이 갖춰지지 않으면 어려운게 카메라 시장입니다. 그리고 카메라시장이 사양길에 들어선것도 사실이고....2015-10-08 22:53 신고
032에너지 카메라 공급이후 사용해본 사람들의 소감은 간단합니다.
가벼워서 기존 카메라를 안갖고 다닐것 같다. 화질이 생각보다는 좋다. 50-200렌즈를 같이 공급했는데...값싼렌즈인데도 성능이 대단하다.
타임랩스 촬영법을 가르쳐줬더니 카메라에서 다되는 것을 괜히 타임릴리즈 사고 날리했다. 특히 4K켑쳐화질이 공모전에 출품해도 충분하다.
캡쳐해서 출품할 것이라는 대부분의 생각이더군요. 순간포착의 경우는 영상을 못따라가는 것이 연사이니까 당연한 얘기겠지요.
규모축소가 되던 안되던 모르겠고.... 서브바디로서 많이들 사용할 것 같은 느낌은 있습니다.2015-10-11 20:36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londonstreet***
닉네임 : 까만돌
포인트 : 197481 점
레 벨 : 최우수회원(레벨 : 6)
가입일 : 2015-06-18 21:59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