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4빛과그림™ 70-200mm F2.8 아빠백통이 심도가 옅은건 렌즈구경 커서, 즉, 렌즈가 훨씬 더 길고 크고 무겁기 때문에 가능한 현상입니다.
일반적으로 같은 화각에서 더 얕은 심도를 내려면 렌즈가 더 커져야 합니다.
크롭에서 아빠백통 크기의 1.5Kg렌즈를 만들면 아빠백통 심도가 나옵니다. 대신 크롭은 동일 화각이 되기 위해서는
렌즈 초점거리가 50-140mm로 만들어야 하고 이 초점거리에서 아빠백통의 렌즈 구경을 가지면 F값은 대략 50-140mm F2 렌즈가 됩니다.2015-11-16 15:29 신고
007SanderCohen누구는 이렇게도 얘기하더라고요.
크롭에서 풀프로 기변하면 뭐가 좋아진건지 잘 모른다...
그런데 풀프쓰다 크롭쓰면 어 사진이 왜 이러지?한다고...
모르겠습니다.
그냥 풀프에서 크롭넘어갈때 기분탓인지...
아니면 정말 느낌이 다른건지...2015-11-16 16:08 신고
009김도열본문의 내용에서 화각은 맞는 말씀입니다. ff옹 렌즈를 크롭 바디에 써아 화각이 잘리구요. 크롭 전용 렌즈는 어차피 크롭 센서에 맞게 나오기때문에 화각 잘리는 거 없어요. nx1은 죄다 크롭렌즈이기 때문에 잘리는 거 없어요. 단지, ff와 비교를 위해서 환산화각을 ff기준으로해서 말 할 뿐이죠. 고로 캐논 24-70이나 16-50s나 화각은 거의 비슷합니다.
대신 심도에서 좀 차이가 나는데, 16-50s는 f2.0-2.8이기 때문에 그나마 ff에 24-70쓴 것과 심도 차이가 덜 나요. 그래서 크롲 최고 표준렌즈는 16-50s 라고 과감히 말할 수 있죠.
크롭과 ff심도 차이나는 건 간단해요. ff로 1m에서 찍을 사진을 크롭은 1.5m에서 찍어야 화각이 똑같아져요. 문제는, 심도는 피사체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얕아지는데, 크롭은 약 1.5배 멀리서 찍으니 그만큼 더 심도가 싶어져요. 이걸 대략 환산하면, 1스탑은 1.4고, ff대비 크롭은 1.54정도 면작비가 있고, 그만큼 떨어져야합니다. 그래서 ff대비 크롭은 약 1과 1/3정도 심도 차이가 나요.
1스탑 1/3의 심도는 별 차이 없는것 같다가도 많이 나는데요, 망원 1.4렌즈로 갈스록 더 차이가 뚜렸해지는거 같더라구요.
ff에 35.4로 찍은 사진을 크롭에선 24.0렌즈로 찍어야는대, 이런 렌즈가 없을 뿐더러, 그나마 크롭에 35.4 마운트해서 1.54배 떨어진 거리에서 찍으면 심도차이가 많이 나게돼요. 여기서 소의 말하는 공감각이란 게 느꺼지곤 하죠.
이 차이가 인물에서 좀 더 두드러져요.
작은 차이지만, 이걸 느끼기 위해 ff를 쓰는거죠~2015-11-16 16:42 신고
011마블링3 화각과 심도, 밝기를 같이 생각하시면 더 명쾌하십니다.
50mm f1.4 렌즈를 크롭 바디에 물렸다고 생각합시다. 그러면 말씀하신데로 75mm f1.4렌즈처럼 화각이 환산되지요. 이때 김도열님 말씀처럼 같은 크기로 피사체를 찍으려면 거리가 더 멀어져야하기 때문에 심도가 옅어집니다. 복잡하게 생각하실 필요 없이 화각 환산하실 때와 마찬가지로 1.5배 해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f2.1의 심도가 되는 것이지요. 그런데 인터넷에 어떤 분들은 크롭되더라도 조리개는 여전히 f1.4다! 하고 주장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건 그분들이 몰라서 그러는게 아니라 실제 조리개의 역할인 빛의 투과율 측면에서 그렇다는 걸로 받아들이면 됩니다. 즉, 크롭바디에선 화각 1.5배, 조리개(심도) 1.5배, 조리개(밝기) 1배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가지더, 처음에 저는 순진한 생각으로 밤에 피사체와 배경을 다 나오게 찍고 싶다면 조리개를 덜 조여도 되는 크롭이나 마포카메라가 더 유리하지 않겠나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풀프레임은 크롭에 비해 센서가 약 1.5배 크기 때문에 상용 감도도 그만큼 좋습니다. 그래서 한스탑이상 조이고 감도 올리더라도 풀프레임이 화질이 더 좋아요...
풀프레임에서 공간감이라...사실 조리개나 화각 문제가 아니라 풀프레임 렌즈 특유의 비네팅 때문이라는 의견도 깨나 지배적입니다. 즉, 렌즈의 흠이 감성으로 승화된걸까요 ;;;;
물론 85mm F1.2나 50mm F1.2렌즈 같은 경우엔 크롭(F0.85)으로 재현불가능하기 때문에 풀프레임 카메라의 전유물이지요.2015-11-16 17:47 신고
012언제나 네 곁에심도가 다른건 초점 거리가 다르기 때문이예요.
예를 들어 크롭 85.4와 플프 130.4는 화각이 거의 같고 동일 피사체 촬영시 거리도 같습니다.
하여 심도도 같다고 보면 됩니다.
근데 크롭 85.4와 플프 85.4렌즈는 화각이 다릅니다.
동일 화각으로 만들려면 플프가 피사체와 더 가깝게 서야 됩니다.
이렇게 해서 화각은 같게 만들었지만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가 달라지고 그 뒤의 배경과의 초점거리도 달라지죠.
후자가 배경을 더 날리게 됩니다. 플프 카메라 입장에서 피사체와 배경의 거리감이 더 있지 때문에 배경이 날아가는거죠.
쉽게 설명하면 손가락을 눈앞에 가져다 놓고 손가락에 시선을 집중해보세요. 배경이 흐려집니다. 손가락을 앞뒤로 옮겨가며 해보세요.
어떤경우에 배경이 더 흐리게 보이는지. 2015-11-16 19:38 신고
김도열[마메짱이라능] 간단합니다. 같은 화각이 나오려면, 크롭은 16mm일 때, ff는 24mm잖아요. 크롭이 50mm일 때, ff는 70mm구요.
심도의 조건 중
1, 피사체와 가까울 것.
2, 렌즈가 망원일 것.
3. 뒷 배경이 멀 수록 좋을 것.
이렇습니다.
2번에 의해, 당연히 같은 화각으로 구성 시, ff는 약 1.54배에 해당하는 망원을 쓰게 되고, 이는 바로 1.54배 정도의 심도 차이를 보입니다. 1.4가 1스탑이니, 약 1과 1/3스탑 정도의 심도 차이가 나는거죠.2015-11-16 20:19 신고
김도열[언제나 네 곁에] 약간 잘 못 알고 계신 것 같습니다.
일단, 85.4와 130.4의 경우, 당연히 130.4가 심도가 더 얕습니다. 이걸 갇다고 보면 클나요. 약 1.3스탑 차이가 나는데, 이게 같다고 본다면, 조리개로 환산하면, 캐논 85.4렌즈가 85 f2.2렌즈와 같다고 보게 됩니다. 1.3조리개 차이는 가격으로 치면 100만원이상 나는 렌즈들도 많아요.
크롭 16/2와 플프24/2도 마찬가집니다. 이 차이도 조리개로 환산하면 1.3스탑입니다. 이걸 미미하다고 한다면,,,
캐논 ef 24.4렌즈와 가상의 24 f2.2렌즈의 심도가 같다는 것이며,
다른 렌즈로 비교하면, 새아빠 70-200과 형아백통 70-200은 각각 조리개 2.8과 4인데,(1스탑 차이) 1.3스탑도 미미하다라고 표현해버리니, 1스탑차이나는 새아빠와 형아백통은 그냥 심도 차이가 없다고 봐야합니다.
고로, 1.3스탑의 심도 차이를 아주 미미하다고 하기엔 무리가 많다는 결론이 되버러요.2015-11-16 20:26 신고
마블링3[언제나 네 곁에] 언제나 네 곁에님 말씀처럼 피사체와의 거리가 같고 화각이 같으면 심도 차이는 0입니다. 왜냐면 같은 사양의 렌즈니까요.
그런데 크롭 16mm와 풀프레임 24mm는 화각이 다릅니다. 환산화각이 같다고 실제 화각이 같은게 아니지요. 즉, 크롭 16미리라는 의미는 풀프레임에서 16미리로 찍은 후 테두리를 잘라냈다(크롭)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생각해보세요. 크롭 생각하지마시고, 풀프레임 16미리 렌즈랑 24미리 렌즈로 같은 거리만큼 떨어진 피사체를 같은 자리에서 찍었다고요. 같은 거리에서 피사체를 찍었을 때 화각은 좁을수록 심도가 얕아지니까 당연히 24미리 사진이 심도가 얕겠지요. 그런 후에 16미리로 찍은 결과물만 24미리 렌즈로 찍은 결과물의 피사체 크기만큼 포토샵에서 크롭해냅니다. 그러면 그게 결국 크롭바디에서 크롭된 것과 같은 심도를 가지는 사진이 됩니다.
그래서 화소 높은 풀프레임 카메라에 광각 렌즈를 단 후 나중에 포토샵 등에서 크롭하면, 크롭기종의 카메라에서 풀프렌즈 쓴 것과 같은 결과의 사진을 보실 수 있는겁니다. 즉 16미리 크롭과 24미리풀프의 심도는 1.5배 차이가 납니다.2015-11-17 16:56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waterman0120***
닉네임 : SanderCohen
포인트 : 41792 점
레 벨 : 우수회원(레벨 : 7)
가입일 : 2015-07-05 18:53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