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또도리천정바운스 치신 거 같은데, 흰색 천정이었나요?
마이크로포서드 쓸 때는 실내에서는 플래쉬화벨이 오토 보다 더 잘 괜찮았는데, sef-580a는 오토화벨로 설정하는 것이 결과물이 더 좋더군요. 물론 가끔씩 틀어지기도 하는데, 대개의 경우 화벨은 별 차이없고 화면에 빛이 좀 더 차있는 느낌으로 나옵니다.2018-03-16 00:41 신고
또도리[SanderCohen]결과물의 exif 자료만으로 추측해보겠습니다. 두번째 세번째 사진은 플래쉬없이 조리개 4.0 감도 1000이 적정노출인 상황을 조리개 8.0 감도 100으로 고정하고 플래쉬 발광으로 노출을 끌어올리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결과는 그 정도의 노출차를 극복하기에는 플래쉬 발광량이 한계에 이른 것이 아닐까 싶어요. 말씀하신대로 화벨도 안맞고 노출도 좀 부족해보인다 싶어서요.
마지막 사진은 노출은 맞은 듯 싶은데 화벨이 틀어져 보입니다. 조리개값이 8.0에서 4.0으로 변화한 탓이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플래쉬 결과물은 복불복인 거 같습니다^^
방이 조금 넓으면 위치 변화만으로도 다른 화벨의 결과물이 나오기도 하던데, 저는 그냥 그런가 보다 하고 썼습니다.
미세한 변화에도 예민하게 반응해서 아예 어느 정도의 후보정을 감안하고 촬영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더라구요^^2018-03-16 12:10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atomhjk1
닉네임 : 또도리
포인트 : 112033 점
레 벨 : 최우수회원(레벨 : 6)
가입일 : 2008-11-20 04:23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