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5울리미 좀더 첨언하자면 G2사진은 사실 바람직하지 않아요. 우측상단의 하이라이트가 완죤히 날라간것으로 보입니다. 명부가 날라가면 보정이 안되니깐, 삼성바디의 경우 약간 어둡게 찍히는 경향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상대적으로 G2는 300M에 비해서 노출보정이 + 0.6값정도로 밝게 노출된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이 사진들의 경우 다이나믹레인지를 켜놓고 찍은게 바람직해요. 아마도 모니터가 약간 어둡게 보이시는게 맞을것 같고요. g2처럼 찍으시려면 노출을 +0.6정도 보정하셔서 찍으시면 됩니다.2015-06-09 16:11 신고
울리미[동부경기대] 다이나믹레인지(이하DR) DR Off하신 맨 마지막 사진과 DR On 하신 사진을 비교해 보시면,
DR On 하신 사진들의 우측 상단은 구름이 보입니다. 즉, 명부의 하이라이트(가장밝은부분)의 데이터가 보존되고 있는 것이지요. 또한 나무그림자를 보시면 DR off한 사진보다 DR On하신 사진의 그림자 부분이 살짝 밝게 보이실겁니다. 즉 암부의 살짝 밝게 보이게 한 것이지요.
빛의 사실 측면에서 보자면 DR Off한 사진이 사실에 가까운 사진이지만, 어두운부분은 너무 어둡게 밝은 부분은 너무 밝게 되어 해당 데이터가 보존되지 못해 사진으로 구분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DR 기능이 추가된 것입니다. G2처럼 찍힌 사진은 명부 하이라이트 값이 없어서 후보정 자체가 불가능해져 버리거든요. 햇빛이 강한날은 DR기능이 상당히 유용합니다만, ISO 200값이상으로 찍혀지기 때문에 조리개 값이 밝은 30mm 85mm같은 단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리개를 많이 열수 없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풍경에서 RAW후보정을 염두에 두지 않는다면 DR기능은 매우 유용하지요. 2015-06-09 16:28 신고
008딱지아저씨 대체로 핸드폰 화면이 좀 과도하게 진하고 밝게 보여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는 눈도 아프고 해서 핸드폰을 좀 어둡게 해놓고 쓰는편인데,
대부분 밝기를 엄청 높여놓고 쓰시더군요.
그렇게 되어있다면 더더욱 사진이 밝아 보이겠죠...
(실제로는 밝은 사진이 아닌데 말이죠)
그리고 같은 사진을 카메라-핸드폰-모니터 에 띄워놓고
비교해보시면 밝기, 색감 등이 제각각 다 다른걸 보실 수 있을거에요 ^^;;; 2015-06-09 17:20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woolimi***
닉네임 : 울리미
포인트 : 5970 점
레 벨 : 정회원(레벨 : 8)
가입일 : 2015-05-13 13:25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