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스승의은행 삼성전자가 처음 반도체사업을 뛰어들 때가... 결국 지금의 위치가 됐죠~
카메라 사업이 광학 사업이라 생각한다면 카메라 그이상을 겨냥하고 있을 지도 모릅니다.
삼성의 생각은 FF카메라 그 외의 것을 생각하고 있을지도... 2015-06-17 12:39 신고
002신라면매운맛 역시 삼성동은 록키산맥님이 중요한 역할을 하시는군요..저는 그저 듣보잡일뿐..그런데 지금 록키산맥님 옆에 테스트중인 삼성 풀프레임 바디가 있다에 한표걸어봅니다..아니면 삼성이 미리 풀프레임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록키산맥님께 알려주었다는데 한표걸어봅니다..무튼 삼성 풀프레임 바디가 좋게만 나와주면 그까이꺼 당근으로 질러줄텐데..무튼 삼성 중형바디가 좋게만 나와주면 그까이꺼 당근으로 질러줄텐데..2015-06-17 12:44 신고
다만 해외 소스에서 들은 것이 있다보니... ㅎㅎㅎ 다른 글에 썼지만, 두어해 전에 포착한 정보랑 루머들을 보자면 그렇지 않겠느냐는 것이죠.
요즘 돌아가는 기술이나... 이런 걸 보면, 현재 카메라를 구성하는 구성품이나 컨셉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지 않을까 하는 예상도 해봅니다.
각종 네트워크의 종류와 성능을 발전... 많이들 예측하셨지만, 메모리 대신 내장 스스디... 8K 동영상이 소개되면, 저부터도 거의 스틸 사진은 안찍을 것 같습니다.
지금 NX1의 4K로도 동영상 캡쳐기능 때문에 동영상 촬영비중이 현격하게 증가했고, 거기다 때론 크롭까지 시전하기도 하거든요. 거기다 8K가 나온다면, 32MP의 해상도가 있기 때문에, 따로 스틸이 거의 필요치 않을 확률이 더 높을 것 같습니다. 2015-06-17 12:54 신고
004펭돌 전 솔직히 ff가 중요한거보다는
그냥 우릴 믿고 우리 마운트를 써라라는 의지의 표명이 너무
미약합니다(2)
위글에 동의합니다. ㅎㅎㅎ... 저런건 그냥 로드맵만 쭉쭉 발표하고 실제로 그대로 찍어내기만 하면 자동으로 쌓이는건데요...
로드맵자체를 공개를 안하죠 ㅠㅠ....
후지나 소니처럼 로드맵을 공개하고 그거만 현실화 되면 뭐 ..ㄷㄷㄷ 바랄게 없습니다 전 사실..2015-06-17 13:09 신고
006시냇가에심은나무 그동안 갈고 닦은 기술로 만족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삼성이 보는 큰 그림에 풀프레임이 있을 것 같진 않아요. 풀프레임이 갖는 특징이란게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고, 그리고 필요성으로 따지면 디지털 기술로 극복할 수 있는 부분이잖아요. 렌즈까지 다 다시 만들어야 하는 상황에 기대수익은 투자비용에 훨씬 못 미치죠. 삼성이 열심히 개발하다가도 내칠땐 과감하게 내치는 모습을 보면, 풀프레임이 나오는게 신기한 현상이라 생각합니다. 2015-06-17 21:40 신고
009발자국ㅋ 제 기억에도 캠코더를 우리나라에서는 삼성,엘지,대우에서 출시했었죠. 당시 전 엘지것 사용..
그런데 일본 수입자유화 되자마자 엘지와 대우는 손들고 사업 철수 했고 삼성은 그대로 밀어 붙여
지금의 카메라 사업까지 연결할수 있었다고 봅니다.
비슷한 사례가 하드디스크.. 사업성 없다고 사업 접어야 하는 상황에서 삼성은 사업을 밀어부쳤고
그결과 세계 판매 점유율 상위권 까지 점했었죠.
지금은 SSD에 올인하는데 삼성의 기가 막힌 한수가 하드디스크 사업을 정점에서 매각한거죠.
그리고 SSD에 올인해서 거의 세계 1위..
전 카메라 사업도 이런 케이스로 세계 1위 되었으면 좋겠습니다.2015-06-18 13:30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ponta4***
닉네임 : 스승의은행
포인트 : 2876 점
레 벨 : 정회원(레벨 : 8)
가입일 : 2015-05-26 17:21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