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8-12 18:16 | 조회수 : 10,840 본문보기
덧글 30 접기
두르
[서랑콤] 같은 f 2.8이면 통과하는 빛의 양은 같다고 봐야합니다
맑은동공
[데커드] FF 센서가 노이즈에서 마포보다 노이즈에서 강한면을 보이는 것은 센서의 픽셀피치가 커서이기 때문이라는 건
데커드
[맑은동공] 본문은 제대로 읽었지만 본문에는 심도에 대한 내용은 별로 등장하지 않는것 같고
맑은동공
[계란소년] 같은 판형 내에서야 그렇지만 서로 다른 판형에서 심도나 배경흐림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매우 유용한 개념이며
맑은동공
[계란소년] 틀린 표현은 없습니다.
두르
[계란소년] 그런 차원이면 실제 초점거리는 자로 재면 나오는 물리적으로 정해진(절대지표)거리인데 이걸 환산초점거리로 바꾸는건 훼손 아닌가요? 환산초점거리 라는건 FF렌즈가 기준이 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판형간 비교를 위해 환산해 비교를 하는 것입니다.
서랑콤
[두르] 두르님, 조리개값이 동일하면 단위면적당 노광량은 동일합니다. 제가 처음 달았던 덧글에 오류가 있었네요. "동일한 양"이 아닌 "동일한 단위면적당 양"입니다. 환산조리개라는 말을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는게, 마포용 렌즈를 135포맷에 사용할 사람은 없습니다. 사용할 수도 없고요. 어차피 환산화각만 이야기하면 충분한게, 같은 조리개 값이면 단위면적당 노광량도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크롭 15-35 f2.8렌즈를 FF 24-70 F2.8 렌즈처럼 이해를 해도 전혀 문제 없습니다. 어차피 환산화각이야 화각 참고를 하기 위한 것이고, 조리개값은 내가 확보할 수 있는 단위면적당 빛이기 때문입니다.
회원정보
아이디 : lhs0109***
닉네임 : 어쭈99
포인트 : 3363 점
레 벨 : 정회원(레벨 : 8)
가입일 : 2015-03-11 21:14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