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2이풍당당아무래도 조리갯 값에 손해가 있어서 실내에서 쓰기에는 ISO 값이 천정부지로 올라가버립니다.
아웃포커싱에서도 손해가 크고요.
그래도 실외에서 쓰기에는 저 가격에 저만한 렌즈도 없는 것 같아요!
나름 광각에서 초망원까지 가능하니까 여행용 원렌즈로 좋습니다.
단점은 꽤나 크고 무거운데다가 나중에 렌즈를 사시면 사실수록 점점 더 계륵이 되어갑니다...2018-11-20 22:34 신고
003수정동항상 오늘이 최선이려니 하고 생각하면 좋습니다.
지금 잡을 수 있는 것을 지금 잡으시면 됩니다.
24-105를 잡기 전에는 카메라캡이었습니다. 매우 만족이었습니다.
화질보다는 이야기를 더 좋아해서 일 수도 있긴 합니다. ㅎㅎ
카메라에서 크롭모드를 말씀하신다면 있습니다.
100-400에 2x텔레컨버터 끼우면 800mm인데,
크롭모드를 실행시키면 1200mm가 됩니다. 때론 재미있었습니다.
24-105를 끼우면서도 다시 한 번 바라보게 되는 렌즈입니다.
저 녀석을 달고 나가면 망원은 잊어버리는데.... 하고 말이죠. ㅎㅎ
그래도 끼우지 않는 것은 물론 망원렌즈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결론은 얼른 사서 즐거운 망원놀이를 하시라고 권합니다.
오늘 찍지 않으면 기다려 주지 않는 피사체들입니다.2018-11-21 04:36 신고
004승리하는삶제가 A7R2 로 24240을 한동안 사용했었습니다. 순전히 영상용으로
그러다가 유럽에 갈 일이 있어서 표준 줌(2470G MASTER)과 가끔 망원이 필요해서 24240을 같이 가지고 갔는데... ㅠ.ㅠ
당연한 것이지만 해상력에서 두 렌즈가 너무 비교가 되고.. 망원에서는 소니의 손떨림이 아무리 좋다고 해도 미세한 수전증이 있어서...
결국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을 내렸습니다.
사실 포커스 잡는 것이 느려서 블러가 상대적으로 많이 있었던 것 같은데...
사실 저는 바디를 한 방에 가는 것 보다 렌즈를 한 방에 가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더구나 말씀하신대로 소니는 2대 클리어 줌이 있어서.. 좀 더 커버가 되니..
제 생각에는 2875 OR 24105 둘 중 하나로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2018-11-21 10:27 신고
Nasin[단영]늘 사진 잘 보고 있어요! 사실 24-240을 고민하게 된 게 단영님 사진보고 우와 진짜 잘 나온다였거든요ㅎㅎ 역시 렌즈보단 개인의 실력이 최고인 거겠죠?
말씀 들으니 표준 줌으로 일단 사고 여유가 되면 100400 렌즈를 추가 영입하는 게 좋을 것 같기도 해요!2018-11-21 13:24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teese***
닉네임 : LIMONE51
포인트 : 272845 점
레 벨 : 최우수회원(레벨 : 6)
가입일 : 2015-05-13 21:42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