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동[FreshSoul] 인화하거나 할 때만 SRGB로 컨버팅하면 되는 거죠. 별로 어려울 것도 없는데요. 저는 라룸에서 편집 끝내면 인화용, 웹용으로 나눠서 저장하고 인화하거나 웹에 올린 뒤에는 지웁니다. 보관하는 건 RAW 파일과 라룸의 사전 설정파일, 카탈로그지요.2016-02-10 02:03 신고
FreshSoul[올리브페이지]i1display 프로그램을 통한 소프트웨어 캘리에선 xps15의 경우 srgb는 설정이 안되는 것 같더라고요. 패널 문제인지 제가 못 찾는것인지 아울러 웹 브라우저는 제 경우 옵션 설정한 불여우 외엔 사파리 포함해서 전부 채도 과포화 현상이 나타나더라고요. 사파리나 크롬도 어디서 설정하면 제대로 지원되는 것인지... 제가 알기로 크롬은 설정해도 안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사파리는 제대로 지원한다고 해서 불여우 깔기 전에 사용해봤는데 안되더라고요.ㅠㅜ2016-02-10 20:00 신고
음 소프트로해도 srgb설정이 되는게 정상이긴한데 그건 좀
프로그램 추가 체크해야될것 같고.
가장 권장되는건 원시 세팅입니다.
원시로 캘리가 잘되면 색포화없이 srgb도 보실 수 있습니당.
크롬은 버젼업되면 cms 데이터 있는건 제대로 나옵니다.
다만 그냥은 안나오고 명령어로 설정 바꾸주야합니다.
불여시도 그냥은 안나오고
명령어로 뚜드려줘야 정상으로 나옵니다.
사파리는 인식해서 나오고욧.
제가 폰이라서 명령값을 못쳐드리네요 ㅜㅜ
나중에 알려드릴게요
다만! 포토샵으로 파일저장하실 때 모니터 프로파일을
jpg에 꼭 포함시켜서 저장하셔야 합니다.
이렇게 안하면 브라우저를 세팅해놔도 해당 이미지의 cms값을 못 읽기 땜시롱 제대로 안보입니다.
포토샵이나 acd의 경우는 프로파일을 기본 적용해서 보여줘서
색포화가 없지만
브라우저는 모니터의 프로파일과 jpg상의 프로파일 값 둘 다 읽어야합니다.
ㅋㅋㅋ 솔까 캘리는 자기혼자 acd같은 프로그램으로 감상할거 아니면
아무도 내가 보는 색과 동일하게 못봐요.
캘리한 모니터 끼리는 서로 표준점을 향해서 바라보고 있다는거지 같은 색을 본다는게 아니니까요.
.
.
.
웹 위주로 하시면 캘리가 좀 허망해집니다 ㅜㅜ2016-02-10 20:17 신고
FreshSoul[올리브페이지] 불여우에서 옵션 설정해서 잘 쓰고 있습니다. 광색역에 대한 오해가 풀렸으니 이제 srgb로 캘리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하다가 게임을 돌려보니 색감이 좀 그래서 캘리 공간 2개에 하나는 광색역 하나는 srgb로 캘리 세팅 후 모니터에서 조정하고 있네요. 그렇게 보니 확실히 원시 색역으로 캘리해서 보는 srgb 이미지와 srgb로 캘리해서 보는 srgb 이미지 색감이 좀 다르긴 한데 색포화라고 느낄 정도로 이질적이진 않더군요.
웹 브라우저에서 사파리의 경우 기본 설정에선 색포화 이미지가 나와서 그냥 불여우에 만족하며 사용하려고 합니다.
아울러 캘리에 관련해선 오늘 어떤 분의 글에도 썼지만 어차피 기기라는게 자기만족이고 제 경우 누구에게 어떻게 보여줘야겠다라기보다 나 혼자만 보더라도 정해진 규격 혹은 규범이 있으면 그 안에서 정확하게 보자란 주의라서 다른 사람들이 캘리 안한 밝은 모니터로 보는 것까진 고려하지 않게 되네요. 광색역 랩탑과 광색역 데탑 모니터 색감을 최대한 맞추는 것도 중요하고 가끔씩 인터넷 인화도 하고 있으니 캘리는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한다기보다 제 자신을 위해서 하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조만간 광색역 공간에서 보정한 srgb 이미지도 인화해서 색감 차이를 한번 확인해봐야겠어요. 많은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2016-02-11 01:21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닉네임 :
포인트 : 0 점
레 벨 : (레벨 : )
가입일 : 1970-01-01 09:00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