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2평강이짝^^*설명 감사합니다.. 근데 좀 어렵네요.. 암튼 센서 자료를 찾다보니깐 니콘 센서의 경우는 베어어 타입이지만 모양이 정사각형이 아니라, 직사각형으로 구현 한게 있었네요.. 지금도 그런지 모르겠습니다만.. 니콘이 그런 구조에서(직렬3배열 이나, 직사각 베어어 패턴) 색을 만들어 냈다고 하면,, 신형 풀프레임 포비온 센서도 보간법을 안쓰고?도 색정보를 만들수 있지 않을까요.. 기존 메릴/꽈트로와 비교했을 때에,, 결국 Red의 신호강도와 DR 정보 구현이 어려웠다는 것이고,, 이걸 별도로 뺐다는 건데,, 꽈트로 나온지 얼마안되서 풀프레임이 나오는것 보면 아마, 메릴 개발이후에 꽈트로랑 신형 풀프레임이랑 같이 고민하고 있었던게 아닐까 싶네요.. 암튼 꽈트로에서 변경한다는 것은 그만큼 장점이 있기 때문꺼라고 믿어 봅니다. 포비온은 포비온 이여야 하니까요.. 그나저나 돈이 없는데 걱정이네요 ㅎ 풀프레임은 3년뒤 사는 걸로.. ^^:::2019-01-07 14:22 신고
쑤노나라[평강이짝^^*]저도 잘 모르면서 설명만 장황하게 해서 혼란만 드린건 아닌지 걱정됩니다 ^^;
단순히 모든 픽셀에 그린채널은 살아있고, 한줄은 레드, 한줄은 블루만 가지고 있으니 레드와 블루는 주변 픽셀에서 값을 빌려와 보간할수 밖에 없다는 생각으로 위의 시뮬레이션을 해본것입니다. 실제 선서는 아마도 다르게 구현될 것이구요, 특허 그림만 봐도 가운데 9픽셀을 한단위로 묶은듯한 모양을 보여주니까요..
제 생각은요.. 메릴까지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풀프레임-고화소로 구현하려면 데이터 양이 어마어마 해질 것이고, red 채널의 문제와 연관되어 저광량-고감도-노이즈 문제도 해결하는것이 한계가 있었을 겁니다. 그래서 화소를 대폭 줄이면서 화질은 약간 손해보며 만든것이 콰트로 센서였고, 메릴보다 미세 디테일이 떨어지는 문제와 역시나 3층 구조로는 고감도-노이즈는 해결이 되지 않으니 이번엔 2층 구조로 노이즈와 속도 개선을 하고 블루-레드 채널은 보간을 해서 화질을 약간 타협한 센서를 개발한것 같습니다.
콰트로의 정보량 비율(4:1:1) 보다 신 센서는 더 많은 정보(2:4:2)를 가지고 시작하는것이니 분명 화질은 좋아질것입니다2019-01-07 14:41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ys1030
닉네임 : 희화 주
포인트 : 94028 점
레 벨 : 최우수회원(레벨 : 6)
가입일 : 2009-08-28 06:52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