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Q 시리즈에 SFD 모드를 펌웨어로 넣어줄만도 한데.... 아쉽네요~~~~~~~ㅎㅎ
dpQ 시리즈에 이 기능이 들어간다면, 굳이 sdQ H를 들고 다니고 싶지는 않습니다.
최적화된 화질 좋은 렌즈를 사용하는 dpQ 시리즈는 참 좋은 카메라입니다~~~~~~2017-01-11 18:04 신고
009종서아빠 추천
근데 제가 현재 보는 모니터가 좀 과하게 밝아서 그렇긴한데,
첫사진은 노이즈가 없습니다만
두번째 사진은 좌측의 어두운 벽쪽이나 바닥의 길 , 오렌지색 기계의 금속롤러부분등은 초록색 얼룩 노이즈가 굉장히 많습니다. 첫번째 사진과 두번째 사진 감도가 차이가 많이 나나요? 2017-01-11 22:09 신고
시간고정자/TimeFixer™[종서아빠] ㅎㅎ 모니터 밝기가 좀 과하긴 한듯 합니다.
저는 듀얼 모니터 사용중인데, 사진 보정은 4K 모니터에서 하고 있습니다.
거의 정확한 색과 노출을 보여준다고 생각하고 있는 모니터이고,
다른 모니터는 주로 인터넷을 띄워서 보고 있는 UHD 급 모니터 입니다.
4K 모니터보다 조금 밝아서 4K 모니터에서 보이지 않던 노이즈 등이 보이면 재보정을 하기도 합니다.
제가 쓰는 두 모니터 모두에서 노이즈는 보이지 않습니다만,
종서아빠님의 예리함에 놀라기도 하고 있습니다.
첫번째 사진은 7장 모두를 가지고 SFD 모드를 적용한 사진입니다.
두번째 사진은 위에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골목 저 안쪽에서 들어오시는 분이 계셔서 그걸 줄여보고 수정하느라
3장의 사진으로만 SFD 모드를 적용하고 보정한 것입니다.
그제 올린 초접사 사진에서처럼 계조가 풍부한 7장의 사진으로 얻는 SFD 모드의 매끄럽고 노이즈 없는 사진과,
추린 몇장의 사진으로 만들때의 노이즈 패턴의 차이가 크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SFD 작동에 관한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만한 사항이지 않겠는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종서아빠[시간고정자/TimeFixer™] 아하! 감사합니다. 집의 모니터가 너무 밝아서.. 노이즈가 잘보이더라구요. 굳이 시그마가 아니라도 타사 베이어센서도 잘 보이는데요,
감도가 낮은 사진이나 어떤 사진들은 그래도 전혀 노이즈가 보이지않으니까,, 뭔가 다른가보다 생각만 하다가,
어제 처음으로 질문드렸는데 신기하네요^^
최고의 품질을 위해선 7장 모두가 필요하군요. 감사합니다. (_ _)2017-01-12 09:52 신고
시간고정자/TimeFixer™[종서아빠] 저도 이런 조건 저런 조건으로 모두 테스트를 해보지 못하고,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 조금씩 보정 방법을 달리해보니,
SFD 모드를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7장의 사진이 모두 사용될때 최상의 결과물이 나올것이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런데, 몇 장만 사용해도 보정 폭이 워낙 커서 노이즈를 쉽게 없앨수 있다는게 또 장점이긴 한듯 합니다~ㅎㅎ2017-01-12 09:58 신고
회원정보
아이디 : ddshan***
닉네임 : 시간고정자/TimeFixer™
포인트 : 420434 점
레 벨 : 골드회원(레벨 : 5)
가입일 : 2015-05-13 15:43
포토앨범보기 쪽지보내기